진영 건물을 지으면서 그리고 짓고 난 후 느낀 점을 적어본다.
쓰레기통, 음식물쓰레기통, 분리수거쓰레기를 모아둘 곳 등을 놓을 곳을 마련하자. 가게별로 자신의 가게쪽에 쓰레기통을 놓을 수 있도록 하자. 101호의 경우, 쓰레기통을 놓을 곳이 마땅치 않다. 바깥에 소형창고가 지어지는 바람에 쓰레기통을 놓을 곳이 없어졌다.
간이창고(바퀴가 달려있거나 쉽게 철거 가능한)를 둘 수 있는 장소를 고려하자.
각 가게별로 주차공간을 적어도 하나 정도는 마련하자. 가게 뒷문쪽으로 동선이 쉽게 만들어질 수 있도록 주차공간을 마련하자. 그 공간에 1톤 화물차 등을 고정 주차시켜서 창고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조경(화단)의 위치를 결정할 때, 모든 가게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공정한 위치에 결정하자. 화단이 치우져져 있다. 101호쪽으로 말이다. 그래서 101호는 102호에 비해 외부 공간 활용에 불편함이 있다. 뿐만 아니라 가게 문으로 사람, 물건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화단의 위치를 결정하자. 문을 가로막거나 이동에 방해가 되도록 하지 말자.
주차 공간의 경우, 양쪽이 틔여 있거나 충분한 여유 공간이 있는 곳으로 마련하자. 한쪽이 벽으로 막혀있는 경우, 사람들이 주차하기를 싫어하는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 문을 열고 닫는게 불편하기 때문인것으로 보인다.
전기 배선 공사를 할때, 충분한 크기의 배전함, 충분한 크기의 전선관, 충분한 굵기의 전선을 사용하자. 배선차단기, 누전차단기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차단기가 큰 크기의 것으로 교체될 수 있다. 따라서 배전함을 미리 큰것을 마련하자. 3상 4선식의 경우, 접지선까지 포함하면 전선 5가닥이 인입되어야 한다. 상가의 경우, 100A에 육박하는 혹은 그 이상의 전류를 필요할 수 있다. 주택의 경우에도 전기 사용량이 늘어나는 걸 대비해야 한다. 따라서 굵은 전선관을 마련하자. 전선이 포설되는 길이, 전기 사용량을 고려하여 충분한 굵기/용량의 전선을 사용해야 한다. 사용이 금지된 규격의 전선은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전선 색깔을 규칙성있게 사용하자. 전열, 전등, 중성선, 활성선, 접지선 등등 전선 색깔만 보고도 어디에 사용되는 것인지 알 수 있게끔 하자. 뿐만 아니라 전선 끝에 태그를 붙여서 기록을 하자. 전선을 이을 때, 될 수 있으면 전선의 재사용이 가능한 분리형 커넥터를 사용하자. 전선 끼리 꼬와서 연결하거나, 재사용이 불가능한 커넥터를 사용할 경우, 유지보수가 불편하다. 인체 감전 방지용 차단기를 사용하자. 정격감도전류 15mA이하, 반응시간 0.03초이하의 차단기를 사용해야 한다고 한다. 대용량 전기 기기 또는 사용 장소에는 별도의 차단기를 분리하자. 예를 들어, 에어컨에는 별도의 차단기를 사용하라. 부엌에는 밥솥, 냉장고, 전기레인지 등 대용량 기기가 많다. 이와 같은 장소에는 별도의 차단기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라. 차단기와 전선을 연결할 때, 압착 터미널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라. 튼튼한 배전함, 분전함을 사용하라. 배전함 뚜껑이 본체와 어떤식으로 연결되는지 확인하라. 본집 및 진영 건물에 사용된 배전함의 경우, 뚜껑이 본체의 얇은 플라스틱판과 나사못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나사못을 자주 풀었다 조였다 하면 나사구멍이 헐거워 진다. 그래서 뚜껑이 본체에 올바로 결합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이런것을 충분히 살펴서 배전함을 선택하라. 배전함의 뚜껑이 투명 또는 반투명할 경우, 시간이 오래되면 변색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도 배전함 선택시 고려하라. HFIX, HIV, IV 전선과 같이 한가닥 전선의 경우, 전선관 1개당 전선 1개를 인입하는 것도 고려해보아라. 이렇게 하면, 전선 1가닥씩 교체하기 편하다. 전선관 1개에 이런 전선이 2가닥 이상 함께 인입이 된 경우가 보통이다. 이렇게 하면 전선 1가닥씩 교체가 사실상 힘들기 때문이다.